‥ 생활정보

대상포진 환자 급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눈에 발병하는 경우, 대상포진의 치료

싱글남녀 2021. 5. 8. 01:46

 

 

오늘 핫키워드 - 대상포진 환자 급증

 



 

 

 

 

 

 

 

최근 환자급증한 원인

 

 

 

1. 인구의 빠른 고령화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노인환자에게서 더 잘 발생합니다.

 

2. 면역억제제 사용 증가

 

 

암 치료나 자가면역질환의 치료가 발달하면서 면역억제제 등을 사용하는 치료들이 많아지는 것도 하나의 증가 원인

 

 

 

 

 

대상포진이란?

 

 

 

피부 발진과 가려움이나 따끔거림 등의 증상 때문에 가벼운 피부병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피부질환이 아니고 신경뿌리의 염증과 손상에서 시작되는 신경계의 질환임

 

 

 

 

 

대상포진에 감염되는 원인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흔하게 겪는 '수두'의 병인인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몸 안의 신경조직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재활성화 돼 발병하게 됩니다.

 

 

 

 

 

대상포진의 증상

 

 

 

띠 형태의 수포성 발진뿐 아니라 심각한 통증과 감각이상을 동반하며,

여러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주로 신체 왼쪽이나 오른쪽 한 쪽에서 나타나 극심한 통증피부 발진, 수포 등을 동반합니다.

 

1. 대상포진 후 신경통

 

 

대상포진 환자10~18%에서 발생하며

화끈거리거나, 쿡쿡 쑤시고 찌르는 듯한 통증, 전격통 등이 나타나는데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1-1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넘어가는 정도

건강한 젊은 사람이 대상포진에 걸리면 10명에 9명은 1-2주안에 잘 낫게 되며

65세 이상의 노인이 대상포진에 걸리면 10명에 4은 피부 상처가 치유된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신경통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2. 눈에 발병하는 경우

 

 

대상포진 환자10~25%가 눈의 대상포진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구 대상포진 환자들의 50~72%는 만성 재발성 안질환 및 시력저하, 시각상실을 겪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특징

 

 

 

1. 피곤함을 많이 느끼는 환절기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자주 발생

2. 생명에 위협을 주는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지만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3. 대부분의 50세 이상 성인에게는 대상포진의 위험성이 있으며

4. 위험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5.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일수록 위험성이 크게 높아지며

연령이 높은 경우에는 치료가 힘든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이어짐

6. 대상포진은 치료 후에도 신경통, 안면마비, 현기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이 동반 됨

7. 많은 바이러스 감염질환이 그렇듯 대상포진도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다행인 것은 한 번 대상포진을 앓으면 재발은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대상포진의 예방

 

 

 

1. 예방백신이 나와 있어 50세 이상은 미리 접종을 받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예방효과는 나이가 많을수록 떨어지는데 50∼59세는 70% 수준입니다.

2.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도 2008년부터 60세 이상 시민들에게 의무접종을 권장

3. 규칙적인 식습관과, 하루에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나만의 해결법 등으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려는 노력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의 치료

 

 

 

피부발진이 생긴 뒤 3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해야 합병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